카테고리 없음

김한길 / '눈뜨면 없어라' 中에서

옥란재 2017. 12. 5. 16:04

 

결혼생활 5년동안,

우리가 함께 지낸 시간은 그 절반쯤이었을 것이다.

그 절반의 절반 이상의 밤을 나나 그녀 가운데 하나

혹은 둘다 밤을 새워 일하거나 공부해야 했다.

우리는 성공을 위해서 참으로 열심히 살았다.

 

모든 기쁨과 쾌락을 일단 보류해 두고

그것들은 나중에 더 크게 왕창 한꺼번에 누리기로 하고,

우리는 주말여행이나 영화구경이나,

댄스파티나 쇼핑이나 피크닉을 극도로 절제했다.

 

그 즈음의 그녀가 간혹 내게 말했었다.

"당신은 마치 행복해질까봐 겁내는 사람 같아요."

그녀는 또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.

 

"다섯 살 때였나봐요.

어느 날 동네에서 놀고 있는데

피아노를 실은 트럭이 와서 우리집 앞에 서는 거예요.

난 지금도 그때의 흥분을 잊을 수가 없어요.

우리 아빠가 바로 그 시절을 놓치고

몇 년 뒤에 피아노를 백 대를 사줬다고 해도

내게 그런 감격을 느끼게 만들지는 못했을 거예요."

 

서울의 어머니는 어머니대로 내게 이런 편지를 보내시곤 했다.

"한길아, 어떤 때의 시련은 큰 그릇을 만들어내기도 하지만,

대개의 경우 시련이란 보통의 그릇을 찌그러뜨려 놓기가 일쑤란다"

 

미국생활 5년만에 그녀는 변호사가 되었고

나는 신문사의 지사장이 되었다.

현재의 교포사회에서는 젊은 부부의 성공사례로 일컬어지기도 했다.

 

방 하나짜리 셋집에서 벗어나,

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3층짜리

새 집을 지어 이사한 한 달 뒤에,

그녀와 나는 결혼생활의 실패를 공식적으로 인정해야만 했다.

 

바꾸어 말하자면, 이혼에 성공했다.

그때 그때의 작은 기쁨과 값싼 행복을 무시해버린 댓가로..